전체 글150 반응형 R프로그래밍 - list 저장하기 (save / load 함수) 데이터프레임이나 matrix같은 경우는 csv파일로 저장이 가능하죠 그런데 list같은 경우에는 matrix처럼 차원이 정해져 있지 않다보니까 csv로 저장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list를 R obejct(객체) 자체로 저장을 해주어야합니다. 아래와 같이 임의의 list를 만들고 save함수와 load함수로 R객체 자체로 저장하고 불러 올 수 있습니다. ### list save setwd("D:\\R") list1 2020. 6. 29. R프로그래밍 - list에 do.call문 사용하기 우리는 이전 포스팅에서 https://bluediary8.tistory.com/85?category=787191 R프로그래밍 - 폴더 안에 여러 csv파일들 하나로 불러 들이기 list.files 함수 이번에는 하나의 폴더안에 있는 여러 csv파일들을 R로 불려들여서 하나로 합쳐보는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우선 임의의 폴더안에 여러개의 csv파일들을 복사해서 붙여넣었습니다. R이 익숙치 bluediary8.tistory.com 여러 csv파일을 합치는 과정 중에 for문과 rbind를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코드의 형태는 다음과 같죠 final 2020. 6. 27. 머신러닝의 정의와 구분 (지도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학습) 머신러닝의 정의와 그리고 머신러닝의 분류로 볼수 있는 지도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학습의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머신 러닝의 정의 머신 러닝의 정의 머신 러닝의 정의 : 4-5년 전만해도 머신 러닝 (Machine Learning)을 인공지능과 비슷한 개념으로서 많이 사용해 왔습니다. 인공지능이라고 해 봤자, 무언가 분류하거나 예측하는 것 이상 할 수 가 없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4-5년전부터 딥러닝 (특히, GAN과 강화학습)이 발전하면서 머신 러닝과 인공지능을 분류해서 부르기 시작하였습니다. 머신 러닝의 '정의'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에는 인공지능의 정의와 같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사용하는 분야가 조금 다르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최근에 부르는 머신 러.. 2020. 6. 26. R프로그래밍 - Sapply함수와 lapply함수 알아보기 이전 포스팅과 이어지는 포스팅입니다. https://bluediary8.tistory.com/95 R프로그래밍 - 문자열 분리하는 함수 str_split / list구조 문자열을 구분하는 str_split함수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str_split함수는 str_detect와 마찬가지로 stringr패키지 안에 들어가 있는 함수입니다. 다음과 같이 '주소' 문자형 벡터가 있을때 여기서 서� bluediary8.tistory.com 다음과 같이 '주소' 문자형 벡터가 있을때 여기서 서울시/경기도/경기도/전라남도만 추출하고 싶다고 가정 해보겠습니다. c("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경기도 평택시","전라남도 연수시 선원동 124") str_split을 통해 공백으로 분리하면 아.. 2020. 6. 26. R프로그래밍 - 문자열 분리하는 함수 str_split / list구조 문자열을 구분하는 str_split함수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str_split함수는 str_detect와 마찬가지로 stringr패키지 안에 들어가 있는 함수입니다. 다음과 같이 '주소' 문자형 벡터가 있을때 여기서 서울시/경기도/경기도/전라남도만 추출하고 싶다고 가정 해보겠습니다. c("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경기도 평택시","전라남도 연수시 선원동 124") 아래코드로 문자형 벡터를 선언해주고, stringr라이브러리를 불러옵니다. 그리고 str_split함수를 통해서 공백으로 잘라줍니다. str_split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tr_split(자르고 싶은 대상, "구분자") addr 2020. 6. 26. R프로그래밍 - list함수 알아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list라는 객체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R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객체는 총 세가지입니다. vector, matrix ( dataframe), 그리고 마지막으로 list입니다. vector는 1차원 형태이고 matrix는 행과 열로 이루어진 2차원 형태의 데이터입니다. list는 차원의 제한이 없습니다. 우리는 앞서 벡터와 matrix의 요소에 접근할때 '방'이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list에서는 큰방과 작은 방이 존재합니다. 큰방은 대괄호 두개 [[ ]] 로 접근을 하고, 작은 방은 벡터와 마찬가지로 대괄호 하나로 [ ] 접근합니다. 아래코드처럼 list() 함수로 선언 할수 있고 보시는 것처럼 각각의 큰방에 대해서 어떠한 객체가 들어가든 상관없습니다. 아래 예제에서는 list의 .. 2020. 6. 2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