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0 반응형 R프로그래밍 - cat 함수와 print함수의 차이점 / 반복문 작업 시 해주어야 할 것 이전 포스팅에서 for문 예제로 들었을 때 print함수를 사용했었는데 print와 비슷한 함수인 cat함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for(i in 1:10){ cat("\n",i) ## enter } 이 코드와 출력이 거의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for(i in 1:10){ print(i) } 여기서 cat("\n, i) 에서 \n 이 코드는 enter를 의미합니다. 즉 cat을 사용하게 되면 "n"이라는 문자가 아니라 R에서 enter능력을 가지고 있는 'n'을 쓰게 해주는 것입니다. \n 을 print에 쓰게 되면 아래와 같이 출력이 됩니다. 즉 print함수에서는 enter능력이 먹히지 않는 것이죠 for문과 같은 반복적인 작업을 진행을 할때에는 중간 진행상황.. 2020. 6. 23. R프로그래밍 - 반복문 (for문) 사용법 코딩을 하다보면 반복문을 안 쓸 수가 없겠죠?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반복문은 필수 입니다. 그중에서도 for문이 가장 기초적인 반복문이죠 반복문이라 함은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작업들을 한번에 하게 해주는 구문이죠 for문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for(인자 in 반복index){ 반복할 내용 } 예를 들어 아래 코드와 같이 for(i in 1:10){ print(i) } 쓰게 되면 i 를 1부터 10까지 돌아가며 { } 안에 있는 코드 즉 print(i)를 실행하게 하는 것입니다. 실행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for 문을 쓰실 때 저 코드 처럼 꼭 1:10 이런식으로 쓸 필요는 없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index에 대해 반복작업을 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 처럼 for(i in c(.. 2020. 6. 23. R프로그래밍 - rbind/cbind/c 함수 차이점 rbind는 rowbind의 약자 입니다. 즉, matrix나 dataframe을 row끼치 묶게 해주는 함수 입니다.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크롤링을 하여 여러 페이지(행렬)를 묶을 때 자주 쓰는 함수입니다. m 2020. 6. 23. R프로그래밍 - paste함수와 paste0함수 paste0와 paste함수는 모두 '붙이는' 기능이 있는 함수입니다. paste0함수부터 사펴보면 paste0("news",1:10) ## 'news'라는 단어와 1부터 10까지 의 숫자를 '붙이도록' 합니다. 그럼 아래 화면과 같이 'news1', 'news2' ,,, 가 나옵니다. 아래 처럼 칼럼 명을 설정할 때 굉장히 자주 쓰입니다. m 2020. 6. 22. R프로그래밍 - dataframe 칼럼/로우명 설정 하기 (colnames/rownames함수) 데이터프레임의 칼럼명(column name)과 로우명(row names)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colnames함수를 통해 현재 데이터프레임의 칼럼명을 뽑을 수 있고 원하는 칼럼을 덮어씌어서 바꿀 수 있습니다. m 2020. 6. 22. R프로그래밍 - matrix와 data.frame의 차이점 아래와 같이 matrix를 선언하고 세번째 column을 강제로 문자형으로 변환후 m의 세번째 칼럼으로 덮어 씌우기 했을 때 전체 m의 형태가 모두 문자형 (character)으로 변한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m 2020. 6. 22.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5 다음